교과서에 빠진 개념 설명과 지식 체계를 잡아 주고,
지식을 우리 생활과 이어 주는 사회책 시리즈입니다.
미래를 살아갈 어린이들의 지식 교양서이자 인성 교양서로,
세상을 보는 눈을 키워 줄 것입니다.
환경부 선정 우수 환경 도서!
손에 잡히는 사회 교과서 시리즈의 첫 번째 책 - 우리 생활과 환경
환경오염 사례 중심이 아닌 자연의 순환을 기초로 이해하는 우리 환경 이야기
● 자연과 사람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요.
● 자연의 순환을 통해 환경 문제를 이해하는 기초를 제공해요.
● 경험과 생활을 바탕으로 하는 환경 이야기
<책 속의 글 맛보기>
가을에는 감나무 가지 꼭대기에 감을 다 따지 않고 ‘까치밥’으로 남겨서 겨울에 먹이가 부족한 새들을 생각해 주거나, 들에서 “고수레!” 하면서 음식을 던지는 풍습에도 새, 벌레와 함께 먹자는 조상들의 따뜻한 마음이 숨어 있어요. 그리고 뜨거운 물은 반드시 식혀서 땅에 버렸지요. 갑자기 뜨거운 물을 부으면 땅에 사는 작은 곤충들이 죽을 수도 있을 테니까요. 땅속에 사는 작은 생물이라도 해치지 않으려는 마음을 잘 알 수 있어요. (본문 85~86쪽)
옛날 내가 살았던 집은 겨울에 방안의 천장이나 벽 사이로 차가운 바람이 많이 스며들었어요(…) 온돌방의 방바닥은 아주 뜨겁지만 위쪽은 웃풍 때문에 김이 서리도록 추워서 방에 늘 이불을 깔아 놓았어요. 그렇게 하면 따뜻한 기운이 달아나지 않고 이불 속에 그대로 남아 있거든요. 지구에도 이처럼 이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있어요. 바로 공기지요. 공기 때문에 지구는 따뜻하게 유지됩니다. 이렇게 지구가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을 ‘온실 효과’ 또는 ‘이불 효과’라고 해요. (본문 100쪽)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세요.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