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옛사람들은 뜻도 모르는 천자문을 그토록 열심히 소리 내어 읽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소리 내어 읽기'가 문해력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조용히 눈으로만 글을 따라가던 아이들이 소리 내어 읽기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글의 흐름이 살아 움직입니다.
이은경 (부모교육전문가, ‘슬기로운초등생활’ 대표)
중 · 고등학교 국어 내신이나 수능 국어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선 어휘력과 함께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다시 말해서 '문해력'이 필수적입니다. 문해력은 어휘력의 향상에서 시작될 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향상될 수 없으므로 초등학교 시절부터 꾸준하게 키워나가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영상미디어에 익숙해져 긴 글 읽기를 어려워하는 학생이 적지 않습니다. 이미 많은 나라에서 영유아기 때부터 문해력을 키우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강조하는 활동이 바로 '소리 내어 읽기'입니다. ‘소리 내어 읽기’는 미국의 국립읽기위원회(NRP: National Reading Panel)에서 선별한 읽기 능력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5가지 요소 중 ‘읽기 유창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즉, ‘읽기 유창성’이란 글을 빠르고 정확하게, 그리고 자연스러운 억양과 리듬으로 읽는 능력을 나타내며, 문해력은 물론, 학업 성취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그리고 이 능력을 길러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이 ‘소리 내어 읽기’입니다.
머리말
이 책은 이렇게 활용하세요!
이 책은 이렇게 구성되었어요!
학습 계획표
1장 국어
01 같은 소리, 다른 뜻
02 도움이 되는 말
03 마음을 담은 사과
04 삶아, 살아, 삼아
05 공원에서의 하루
06 현우에게
07 헷갈리기 쉬운 낱말
08 공익광고
09 교실 속 텃밭
10 토박이말에 담긴 하늘과 바다
1장 마무리 활동
2장 수학
11 독도의 수를 찾아서
12 수의 자릿값
13 0과 어떤 수의 곱
14 길이의 역사
15 곧은자와 줄자
16 그제와 모레
17 입장하실 수 없습니다
18 1년은 모두 몇 개월일까?
19 규칙이 있는 전통 놀이
20 내가 실천한 바른 식습관
2장 마무리 활동
3장 통합 – 계절
21 잠꾸러기 친구들
22 너는 봄, 나는 가을
23 산이 옷을 갈아입었어요
24 가을을 알리는 잠자리
25 입춘대길(立春大吉)
26 24절기 노래 (1)
27 24절기 노래 (2)
28 제철 음식
29 미래를 전하는 사람들
30 봄나물의 참맛
3장 마무리 활동
4장 통합 – 인물
31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32 아기 구름의 여행
33 돌로 만들어진 악기
34 조선의 과학 천재 장영실
35 자랑스러운 전통문화
36 우리의 소리
37 소식을 전해요
38 전통 스포츠, 씨름
39 산에서 길을 잃었어요
40 강강술래
4장 마무리 활동
5장 통합 – 물건
41 실수가 만든 똑똑한 메모지
42 고민거리가 아이디어로!
43 유니버설 디자인
44 욕실에서 찾은 발명품
45 맛있는 발명
46 종이의 역사
47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
48 동그라미 대장공
49 누리집 탐험
50 화재는 예방이 최고
5장 마무리 활동
6장 통합 – 기억
51 내 마음속 앨범
52 바른 자세로 공부해요
53 프루스트 현상
54 떡볶이 파티
55 손 안의 쪽지
56 엉뚱한 종민이
57 꽃을 피우는 말
58 이상한 칭찬
59 한라산 여행
60 겨울 방학
6장 마무리 활동
정답
독자의견 남기기